전기차 보급, 목표치 절반 이하…'지역별 10배차' 보조금도 배경

25-08-24 13:33    |     Comment  0

[앵커]

정부가 친환경 자동차 지원 정책으로 전기차를 살 때 보조금을 주고 있습니다만 연간 전기차 보급률은 정부 목표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습니다.


주무 부처인 환경부 장관조차 공무원들이 전기차를 안 탄다고 지적하고 나섰는데. 원인과 대책은 무엇인지, 차정승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김성태 씨는 전기차로 출퇴근하고 있습니다. 11년째 만족스럽게 타고 있지만 주변의 걱정 어린 시선을 받을 때도 있습니다.


김성태 / 전기차주 (사용자협회장)

"화재율이 더 높은 것도 아니거든요. 전기차가 위험하다는 인식이 많이 퍼지면서 전기차를 좀 꺼리지 않았나..."


국내 전기차 보급량은 2022년 16만 4천여 대에서 줄어들고 있는데, 정부와 지자체의 보조금 지원에도 전기차 점유율은 3%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러다보니 "환경부 공무원들도 전기차를 안 탄다"는 말이 나올 정도인데 실제 지난해 전기차 보급은 정부 계획의 절반도 못 미쳤습니다.


"지난해 환경부는 전기차 33만 9천여대 보급을 계획했지만 실제 보급량은 15만 7천여대로 목표치의 46%에 그쳤습니다.


내연차보다 비싼 차량가격과 충전 인프라 부족, 잇단 화재 등이 원인으로 꼽히는데 지자체별로 보조금이 10배가량 차이나는 점도 배경으로 꼽힙니다.


준중형 SUV의 경우 서울은 50만 원, 경주는 510만 원이 지급되는데 지자체의 재정 사정에 따라 보조금이 다른 상황입니다.


이호근 / 대덕대 미래자동차과 교수

"1일 생활권인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 특정 지역에서만 운행이 잦다고 볼 수는 없거든요. 지자체 보조금 비율을 낮추고 환경부 보조금을 더 늘리는 식으로 (지역) 편차를 줄일 필요성은 있습니다."


환경부는 수요가 많은 지역에 보조금을 우선 배정하고, 보조금 단가도 400만원까지 올리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TV조선 차정승입니다.

Comments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